시간복잡도 2

22. 10. 26 - [ 플러스 알파 ] 버블 정렬 , 셀렉션 정렬, 정렬 장단점

-- INDEX -- 1. 버블정렬 ( bubble sort ) 2. 선택 정렬 ( selection sort ) 3. 정렬별 장단점과 시간복잡도 하나하나 비교 큰 수 뒤로 보내기 정렬 최소 값의 index 활용 비교하여 작은 값 - 맨 앞에 넣어주기 내용 체크 1. 버블 정렬 - bubble sort 서로 인접한 두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 정렬을 하는 방식이 물속에서 물 위로 올라오는 물방울 모양과 같다 하여 버블 정렬이라고 한다. 인접한 2개의 레코드를 비교하여 크기가 순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서로 교환한다. 선택 정렬과 기본 개념이 유사하다. 버블 정렬은 첫 번째 자료와 두 번째 자료를, 두 번째 자료와 세 번째 자료를, 세 번째와 네 번째를, … 이런 식으로 (마지막-1)번째 자료와 ..

22.10.21 - [ 플러스 알파 ] 재귀함수, 시간 복잡도(빅오표기법)

-- INDEX -- 1. 재귀 함수 2. 시간 복잡도 재귀호출이란? 재귀호출 예시 알고리즘 평가 요소 중 수행 시간 빅오표기법 ( 최악의 경우의 수행 시간 ) 1. 재귀 호출 ( recursive call )이란? 함수 내부에서 함수가 자기 자신을 또다시 호출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재귀 호출은 자기가 자신을 계속해서 호출하므로, 끝없이 반복되게 됩니다. 따라서 함수 내에 재귀 호출을 중단하도록 조건이 변경될 명령문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재귀 호출은 알고리즘이나 자료 구조론에서는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 재귀 호출을 사용하면 복잡한 문제도 매우 간단하게 논리적으로 접근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메서드 안에서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것 > 메서드를 호출하면 – 스택 메모리에 계속 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