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DEX --
1. DROP / TRUNCATE / DELETE | 2. 컴퓨터 구조 |
테이블삭제 / 잘라내기 / 하나하나지우기 | CPU, RAM, HDD, SSD |
1. DROP / TRUNCATE / DELETE
1-1: Drop - 테이블 자체를 삭제
- DROP TABLE dbtable;
- 기존 테이블의 존재를 삭제한다.
- 테이블의 정의 자체를 완전히 삭제한다.
- Rollback 불가능하다.
- 테이블이 사용했던 Storage는 모두 Release 처리된다.
1-2 : Truncate - 테이블의 모든 row 잘라내기
- TRUNCATE TABLE dbtable;
- 테이블을 최초 생성된 초기 상태로 만든다.
- 용량이 줄어들고, 인덱스 등도 모두 삭제된다.
- Rollback 불가능하다.
- 무조건 전체 삭제만 가능하다.
- 삭제 행수를 반환하지 않는다.
- 테이블이 사용했던 Storage 중 최초 테이블 생성 시 할당된 Storage만 남기고 Release 처리된다.
1-3: Delete - 테이블의 모든 row 하나하나 삭제
- DELETE FROM dbtable;
- 데이터만 삭제되며 테이블 용량은 줄어들지 않는다.
- TABLE이나 CLUSTER에 행이 많으면 행이 삭제될 때마다 많은 SYSTEM 자원이 소모된다.
- Commit이전에는 Rollback이 가능하다.
- 롤백 정보를 기록하므로 Truncate에 비해서 느리다.
- 전체 또는 일부만 삭제 가능하다.
- 삭제 행수를 반환한다.
- 데이터를 모두 Delete해도 사용했던 Storage는 Release 처리되지 않는다.
2. 컴퓨터 구조
- 컴퓨터( 계산기 )
- 본체, 입출력 도구
- CPU, RAM, HDD, SSD
2-1 : CPU ( Core Processing Unit )
- 컴퓨터의 두뇌 - 머리
- 출력을 전달하기 전에 컴퓨터의 RAM에서 입력을 가져와 명령문을 이해하고 처리
- ex) 게임 내에서 내 데미지 계산 처리
2-2 : RAM ( Random Access Memory )
- cpu가 바로 가져다 사용할 수 있는 공간
- 시스템의 단기 데이터 스토리지로, 정보에 빠르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컴퓨터가 실시간으로 사용하는 정보를 저장
- 메모리는 한 작업에서 다른 작업으로 전환할 때 이전 작업의 마지막 위치를 기억하여 이러한 작업을 빠르게 전환하는 데도 필요
- ex) 내 공격력 / 현재 있는 사냥터 정보 / 체력 등등 저장되어있다. ( ram에 있어야 바로바로 계산됨)
2-3 : hdd || ssd ( Hard Disk Drive | | Solid State Drive )
- 오래되어서 따로 저장해놓은 공간
- hdd -컴퓨터의 주요 저장장치로 사용되며 내부에 플래터(디스크)를 여러 개 두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쓰인다.
- sdd - 반도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달리 반도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라 저전력으로 빠르고 소음이 없습니다.
- 컴퓨터가 일상적인 작업에 사용하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기술의 한 종류
- ex) 모든 사냥터 맵의 정보 저장되어있는 곳
2-4 : hdd||ssd 에 있는 데이터 중 - 필요한 데이터들 ram에 올려놓고 - cpu에서 바로 사용
# 저장 크기
- cpu < ram < hdd||ssd
- cpu의 저장 크기가 제일 작다
# 가격
- cpu > ram > hdd||ssd
- cpu의 가격이 제일 비싸다
'Java 기반 클라우드 융합 개발자 과정 - KH 정보교육원 > 10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10. 28. - [ Final Project ] 중간 발표 시간 (0) | 2022.11.12 |
---|---|
22.10.31 - [ 14차 시험! - 애플리케이션 배포 ] (0) | 2022.11.12 |
22. 10. 26 - [ 플러스 알파 ] 버블 정렬 , 셀렉션 정렬, 정렬 장단점 (0) | 2022.11.11 |
22. 10. 25 - [ 파이널 프로젝트 ] 중간발표 전 프로젝트 시간 (0) | 2022.11.10 |
22. 10. 24 - [ 플러스 알파 ] 공공데이터 API - 날씨API 사용해보기 (0) | 2022.11.10 |